반클리프 아펠(Van Cleef & Arpels)은 1920년대부터 무용계와 밀접한 인연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0년부터는 현대 무용을 지원하는 댄스 리플렉션 BY 반클리프 아펠(Dance Reflections by Van Cleef & Arpels)을 설립하며 더욱 탄탄한 관계를 쌓아 나가고 있습니다. 국제적인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진행되는 본 이니셔티브는 안무 유산을 함께 나누고 계승하며, 많은 이들에게 현대 무용이라는 예술 세계를 소개하겠다는 메종의 헌신을 고스란히 드러냅니다.
창조, 전승, 교육의 가치
반클리프 아펠이 추구하는 창조, 전승, 교육이라는 가치에 굳게 뿌리내린 댄스 리플렉션의 사명은 안무 유산을 보존하고자 하는 아티스트와 기관을 지원하고, 새로운 창작 활동을 펼치고 있는 예술가와 단체를 독려하는 것입니다.
프로그램 시작의 순간부터 현재까지, 메종의 지원을 받은 다양한 단체들이 창작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국제적인 명성을 지닌 무대에서 작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본 이니셔티브는 2022년 3월 런던에서 처음 공개되어 매년 개최되고 있는 대규모 이벤트인 댄스 리플렉션 BY 반클리프 아펠 페스티벌을 통해 더욱 탄탄한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 이벤트는 전문가와 비전문가, 청중을 모두 대상으로 하는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현대 무용의 예술적 가치에 풍성함을 더했습니다.
“메종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현대 무용과 모던 댄스를 지원하고,
새로운 안무 창작을 독려합니다.”

“메종의 역사를 통틀어 무용은 언제나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분야였으며, 1960년대 클로드 아펠(Claude Arpels)과 안무가 조지 발란신(George Balanchine)의 만남 이후부터 더욱 깊어졌습니다. 뉴욕 발레단의 수석 무용수이자 L.A 댄스 프로젝트(L.A. Dance Project, LADP)의 창립자인 벤자민 밀레피드(Benjamin Millepied)와의 파트너십, 전 세계 다양한 제작사 및 오페라 공연과의 콜라보레이션, 페도라 - 반클리프 아펠 발레상(FEDORA – Van Cleef & Arpels Prize for Ballet)의 제정을 통해서도 이를 엿볼 수 있습니다. 2020년 메종은 댄스 리플렉션 BY 반클리프 아펠의 설립으로 무용 예술을 향한 헌신을 새롭게 공고하며, 현대 무용을 지원하고 새로운 창작 활동을 독려합니다."
니콜라 보스(Nicolas Bos)
반클리프 아펠의 전 회장
“무용은 모든 예술 분야를 한데 아우르며, 매혹적인 예술 형식이자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운 표현 영역이기도 합니다.”

“무용은 모든 예술 부문을 한데 아우르고 있습니다. 음악, 조형 예술, 의상, 조명, 세트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심지어 주얼리까지도 포함할 수 있죠. 그리고 매혹적인 예술 형식이자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운 표현 영역이라는 점에서 이토록 많은 관객을 사로잡을 수 있었습니다. 관람객들이 어떠한 선입견 없이 작품을 자유롭게 감상하시기를 바랍니다.”
세르쥬 로랑(Serge Laurent)
반클리프 아펠 댄스 및 문화 프로그램 디렉터
반클리프 아펠과 무용의 만남
반클리프 아펠과 무용 세계의 인연은 1920년대 파리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설립자 중 한 명이자 열정적인 발레 애호가였던 루이 아펠(Louis Arpels)은 조카 클로드 아펠을 방돔 광장 부티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오페라 가르니에(Opera Garnier)로 데려가곤 했습니다. 1940년대 초, 반클리프 아펠은 최초로 발레리나 클립을 선보였으며, 이는 오래지 않아 메종의 시그니처 작품으로 자리잡았습니다.
1950년대에는 클로드 아펠과 명성 높은 안무가이자 뉴욕 발레단(New York City Ballet)의 공동 창립자인 조지 발란신의 만남을 바탕으로 댄스 분야와 더욱 깊은 유대 관계를 이어 나갔습니다. 진귀한 스톤에 대한 두 사람의 열정은 예술적 파트너십으로 발전했고, 1967년 4월에 뉴욕에서 첫선을 보인 조지 발란신의 주얼스(Jewels)을 통해 그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비서사 3막으로 선보이는 작품의 각 챕터는 젬스톤 하나와 작곡가 한 명에 대한 찬사를 담아 완성되었습니다. 1막 에메랄드(Emeralds)는 가브리엘 포레(Gabriel Fauré), 2막 루비(Rubies)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3막 다이아몬드(Diamonds)에는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Pyotr Ilyich Tchaikovsky)를 기념하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2012년에는 클로드 아펠과 조지 발란신의 운명적인 만남을 연상시키는 벤자민 밀레피드와의 새로운 콜라보레이션이 시작되었습니다. 벤자민 밀레피드는 반클리프 아펠이 지원하는 L.A. 댄스 프로젝트 컴퍼니와 함께 Reflections(2013년), Hearts & Arrows(2014년), On the Other Side(2016년)로 구성된 3부작 발레 작품 젬(Gems)을 제작하였으며, 2019년에는 로미오와 줄리엣(Romeo & Juliette Suite)을 무대에 올렸습니다.
메종은 2000년대부터 런던 왕립 오페라 하우스(Royal Opera House), 모스크바의 볼쇼이 극장(Bolshoi Theatre), 호주 발레단(Australian Ballet)과 같이 세계적으로 명성 높은 기관과 협업하고 있습니다. 또한 무용 분야에서의 프랑스와 중국의 예술적 만남을 기념하여 중국에서 개최되는 크루아즈망 페스티벌(Croisements festival)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뿐 아니라 2015년부터는 페도라 - 반클리프 아펠 발레상을 제정하여 매년 탁월하고 혁신적인 새로운 안무 창작 작품에 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